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철근 공급중단 사태 또 오나?

공유
0

철근 공급중단 사태 또 오나?

철강사-건설사, 철근값 협상 난항

주요 철강사들과 건설사들이 철근값 협상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어 지난해 말 벌어졌던 가격분쟁 조짐이 또 다시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제강사들은 원가 인상요인이 있음에도 이를 반영하지 못한 만큼 철근값을 인상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해 왔다. 반면 건설사들은 악화일로인 시황 등을 이유로 가격 인상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양측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철근가격협의체에 대한 회의론까지 불거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래저래 지난해 벌어진 가격분쟁으로 인한 철근공급 중단 사태가 우려되고 있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철강사와 건설사가 철근가격협의체 모임을 열고 가격 협상을 벌였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무산된 것으로 확인됐다.

건설사들은 지난 5월 이후 철근 원자재인 철스크랩 가격이 계속 하락한 만큼 철근값 역시 동결하거나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반해 철강사는 환율 여파로 수입 철스크랩 가격이 올라 원가는 오히려 인상됐다는 주장을 내세우고 있다. 특히 수급 조절이 쉽지 않은 상황이어서 가격인하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실제로 현대제철과 동국제강은 6월 철근가격을 t당 85만원(고장력 10㎜ 기준)으로 정하고 이를 건설사에 통보했다. 전달보다 2만5000원을 인상한 것이다. 반면 대형 건설사 구매담당자들로 이뤄진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건자회)는 6월 철근가격으로 t당 81만원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철강업체 관계자는 "지난달 27일 양측이 협상을 벌인 것은 맞지만 철근값 인상을 두고 서로 입장차만 확인하고 돌아선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견을 좁히지 못한 만큼 협상은 7월에도 계속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철스크랩 가격이 하락하고 있어 건설사들이 인하를 요청하고 있지만 철강사 입장에서는 가격 변동이 심한 만큼 값을 올려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건설사는 15000원 가량 인하를, 철강사는 15000원 가량 인상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어 대략 3만원의 간극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반면 건설사 관계자는 "제강사들이 6월 철근가격을 5월 대비 t당 2만5000원 인상한다고 주장해 협상이 결렬됐지만 철근단가 메커니즘을 통해 6월 철근값을 산출한 결과 1만5000원 인하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이정훈 건자회 회장은 "철근값 인상은 현대제철을 비롯한 철강사들이 협책하는 것이다. 자신들이 유리하다고 1년여 동안 지켜온 철근가격협의체의 정신을 무시하는 것으로 당연히 가격을 인하해야 한다"며 "철강사들에 인상 이유로 지금까지 못 받았으니까 올려야 한다는 말도 안 되는 논리를 앞세우는데 이는 억측이다. 이같은 상황을 정부에 이야기해 반드시 짚고 넘어갈 것이다"고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山으로 가는 '철근가격협의체'

또 하나 고민거리는 지난해 연말 정부 주도로 만들어진 철근가격협의체다. 정부는 지난해 양측의 대립으로 철근공급 중단 사태를 빚자 이같은 일을 막기 위해 매월 초 철근가격 인상 여부와 폭을 결정하는 협의체를 꾸렸다.

문제는 철강사들이 자사의 이익을 이용해 가격인상을 주도하면서 건설사들이 이에 반발해 사실상 가격조절 기능을 상실했다는 점이다.

현재도 매달 서너 차례 만나 값을 흥정하고 있지만 매번 별무소득으로 끝날 때가 많다. 정부가 판은 깔아놨지만 업계의 자정능력에만 의지한 체 적극적인 중재를 벌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도 철강사가 물건을 먼저 공급하고 가격은 한 달 후에 결정하는 관행은 바뀌지 않았다. 2011년 협의체 출범 이후 월 초에 가격을 합의한 것은 그해 11월과 12월뿐이다.

업계 관계자는 "철강업체와 건설사가 자신들의 이익을 관철시키려 매번 팽팽한 기싸움을 벌이고 있는 상황인데도 정부는 사실상 뒷짐만 지고 있다"며 "협의체 구성도 정부의 중재기능을 고려해 꾸린 만큼 앞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