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르노의 SUV 개발 기지 선언한 르노삼성차…지난해 연구비 줄고, 로열티는 늘어

공유
1

르노의 SUV 개발 기지 선언한 르노삼성차…지난해 연구비 줄고, 로열티는 늘어

"혁신 기대하기 어렵고, 신차 개발 주도할 수 있는 위치 아냐"

르노삼성차가 르노의 글로벌 경영전략에 따라 단순 생산기지로 전락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기 용인시에 위치한 르노삼성의 중앙연구소 전경.이미지 확대보기
르노삼성차가 르노의 글로벌 경영전략에 따라 단순 생산기지로 전락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기 용인시에 위치한 르노삼성의 중앙연구소 전경.
[글로벌이코노믹 천원기 기자] 르노삼성자동차가 모기업인 르노의 글로벌 경영 전략에 따라 연구개발(R&D)비용은 줄어든 대신 로열티는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르노삼성은 르노의 프리미엄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개발을 전담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정작 엠블럼만 바꿔다는 ‘배지 엔지니어링’(badge engineering) 기지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6일 르노삼성이 공시한 2016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연구개발비는 2015년 1491억7796만원에서 2016년에는 약 4% 감소한 1435억9812만원으로 줄었다.

연구개발비는 감소한 반면 같은 기간 르노측에 보낸 기술사용료는 498억6303만원에서 1172억9819만원으로 2배 넘게 증가했다. 지난해 르노삼성차가 판매한 자동차는 내수와 수출을 합해 전년 대비 12% 증가한 총 25만7345대다. 로열티가 판매량과 비례해 늘어난 셈이다.

결국 르노삼성차는 르노의 단순 생산기지로 자동차 회사의 핵심인 신차 개발은 사실상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르노삼성은 중형차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SM6’ 출시 초기만 하더라도 이 차량에 사용되는 엔진의 실린더 블록 등 주요 부품을 수입했다.

이후 르노그룹내 주요 회사와 입찰경쟁을 통해 생산을 따내기는 했지만, 이 과정에서 부산시로부터 30억원의 연구 개발 보조금을 지원 받았다. 자체 생산이나 개발을 주도적으로 할 수 없다는 반증이다.

현재도 소형 SUV ‘QM3’나 국내 판매를 시작한 전기차 ‘트위지’의 경우 해외에서 수입해오고 있다. 국내 출시를 검토하고 있는 소형 해치백 ‘클리오’도 현재 국내 생산 계획은 없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신차에 대한 연구개발이 없는 로노삼성차의 국내 공장은 단순 조립공장에 불과한 것으로 혁신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며 “지금의 상황으로는 국내 고용 부문이나 신차 개발을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위치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연구개발비(증감률)
기술사용료(증감률)
2016년
1435억9812만원(약 4%감소)
1172억9819만원(약135% 증가)
2015년
1491억7796억원
498억6030만원
※르노삼성의 연도별 연구개발비와 기술사용료


천원기 기자 000wonk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