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국민노후 통합관리 연금청 설치 필요…고령화사회 선제적 대응차원

공유
2

국민노후 통합관리 연금청 설치 필요…고령화사회 선제적 대응차원

2017년 기준 각 국가별 연금 소득대체율 및 사적연금가입률 (자료=김병욱 의원실)이미지 확대보기
2017년 기준 각 국가별 연금 소득대체율 및 사적연금가입률 (자료=김병욱 의원실)
[글로벌이코노믹 황이진영 기자] 김병욱 의원이 국민노후생활을 통합 관리할 연금청(가칭)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은 25일 국무조정실 종합국정감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되는 반면 노인 빈곤율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 2000년 고령화 사회, 2017년 고령사회에 진입한 데 이어 오는 2026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예정이다. 이는 고령화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데 불과 26년밖에 걸리지 않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빠른 속도다.

UN은 만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의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프랑스 154년, 스웨덴 127년, 미국 94년을 비롯해 주요 서방국가는 고령화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기간이 100년 안팎이 걸리고 고령화속도가 빠른 일본도 36년이 걸렸다.

2016년 OECD 한국경제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48.6%로 OECD 평균 12.4%의 4배에 달한다. 한국을 포함 호주 35.5%, 일본 19.4%, 그리스 15.8%, 미국 14.6% 등 5개 국가만이 OECD 평균을 웃도는데 그 중에서도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압도적으로 높다.

빠른 고령화 속도, 노인빈곤 심화에도 불구하고 가계의 노후 준비는 크게 미흡해 연금의 역할이 요구되지만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다. 연금의 소득대체율은 39.3%, 사적연금 가입율은 24.0%에 머물러 OECD 회원국 대비 낮은 수준이다.
김의원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의 규모는 국민연금 623조9000억원, 개인연금 331조5000억원, 퇴직연금 169조원 등 총 1200조원에 육박해 GDP(1730조원)와 맞먹는 규모다.

최근 10년간 국고 및 세제지원 규모도 46조4000억원에 달한다. 그러나 일부연금자산의 수익률은 턱없이 낮아 연금재정은 물론 국부 증대에도 기여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단적으로 2017년도 기준 국민연금의 평균 수익률은 7.3%인 데 비해 퇴직연금의 수익률은 1.9%에 그쳤다.

김 의원은 낮은 소득대체율, 낮은 수익률을 개선하고 국민의 노후생활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현재 여러 부처로 나뉘어 관리되고 있는 분산성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국민연금은 보건복지부(국민연금공단), 군인연금은 국방부(보건복지관실), 공무원연금은 행안부(공무원연금공단), 사학연금은 교육부(사학연금공단)가 각각 관리하고 있다. 사적연금도 퇴직연금은 고용노동부가, 개인연금은 금융위원회가 각각 관리하고 있다.

김 의원은 “세계 최고 수준의 노인빈곤율을 기록하고 있는 상황에서 빛의 속도로 다가오는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국민의 노후생활을 통합 관리하기 위해 논의를 서둘러 시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황이진영 기자 hjyhjy124@g-enews.com